여성주의(3)
-
남자의 탄생, 가족프로젝트 그리고 나
가족 프로젝트: 아버지의 집 감독 조윤경 (2001 / 한국) 출연 상세보기 가족 프로젝트. 이 영화를 보는 내내 나의 느낌은 남자의 탕생이란 책이 자꾸 떠올랐다. 남자의 탄생! 가족프로젝트는 너무도 닮아 있었다. 다만 남자의 탄생은 한 남성이 자신이 어떻게 남성중심의 가부장적인 사람으로 길러 졌는지에 대한 어린 시절의 회상이고 가족프로젝트는 한 여성이 가족의 일상을 카메라에 담아 내면서 그 속의 가부장적인 남성중심의 사회를 꼬집어 낸 것이다. 하지만 두 가지는 너무도 닮았다. 우리 사회 전반, 아니 누구의 가족 이야기랄것도 없는 우리의 가족 이야기이기 때문이다. 가족내에서의 힘의 권력 관계, 그리고 그 신분적 질서와 서열! 이것이 한국의 가족사회의 모습인것이다. 그리고 그것은 곧 사회 전반으로 연결 되..
2009.07.18 -
제비꽃 향기 : 아무도 믿지 않는다
영화가 끝나고 자막이 올라 갔을때 나의 느낌음 끔직함과 무서움 이었다. 이 사회에서 여성으로 태어나 살아 간다는 것이, 그리고 여성으로서 겪는 곤경과 아픔을 치유하고 보듬어 줘야할 같은 여성들이 오히려 같은 여성을 공격하게 만드는 사회를 만들어진 사회, 그리고 그 사회를 만들어간 남성이 무섭고도 화가 났다. 강간의 피해를 고스란이 당하고도 창녀란 소리를 들어야 하고 그렇게 말하는 당사자는 바로 같은 여성이 었다. 같은 여성으로서 제시카를 도와주고 제시카에게 나쁜짓을 한 녀석들에게 처벌을 하지 않고 오히려 제시카를 나무란다. 이것은 동서양을 떠나 이 땅에 여성으로서 태어났다면 겪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. 같은 여성이 오히려 같은 여성의 아픔을 외면하고 그것을 느긋하게 바라보며 종용하는 남성... 그것이 ..
2009.03.25 -
남자의 탄생, 가족프로젝트 그리고 나
가족 프로젝트. 이 영화를 보는 내내 나의 느낌은 남자의 탕생이란 책이 자꾸 떠올랐다. 남자의 탄생! 가족프로젝트는 너무도 닮아 있었다. 다만 남자의 탄생은 한 남성이 자신이 어떻게 남성중심의 가부장적인 사람으로 길러 졌는지에 대한 어린 시절의 회상이고 가족프로젝트는 한 여성이 가족의 일상을 카메라에 담아 내면서 그 속의 가부장적인 남성중심의 사회를 꼬집어 낸 것이다. 하지만 두 가지는 너무도 닮았다. 우리 사회 전반, 아니 누구의 가족 이야기랄것도 없는 우리의 가족 이야기이기 때문이다. 가족내에서의 힘의 권력 관계, 그리고 그 신분적 질서와 서열! 이것이 한국의 가족사회의 모습인것이다. 그리고 그것은 곧 사회 전반으로 연결 되어 있다. 영화나 책에서 똑 같은 시간적 흐름은 이렇다. 절대 권력을 자랑하는..
2009.03.08